728x90
1. 배열
- 데이터를 메모리 공간에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.
- 인덱스로 값을 참조할 수 있다.
-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고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바꿀 수 없다.
- 값을 중간에 삽입하거나 삭제하기 어렵다.
2. 리스트
- 노드(값 + 포인터)를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이다.
- Head 포인터부터 접근하여 값을 참조할 수 있다. 따라서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리다.
- 리스트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하지 않아도 되므로, 크기가 변하는 데이터를 다루기 적절하다.
- 값을 중간에 삽입하거나 삭제하기 쉽다.
- 포인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.
3. 예제 문제
[11720] 숫자의 합 (JAVA)
# 문제 설명 N개의 숫자가 공백 없이 쓰여있다. 이 숫자를 모두 합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숫자의 개수 N 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없이
spicyrisotto.tistory.com
[1546] 평균 (JAVA)
# 문제 설명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.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.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. 이 값을 M이라고 한다.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
spicyrisotto.tistory.com
[25966] 배찬우는 배열을 좋아해 (JAVA)
# 문제 설명 찬우는 오늘 프로그래밍 기초 강의에서 2차원 배열에 대해 배웠다. 너무 재미있던 찬우는 2차원 배열에다 연산을 진행하기로 결심했다.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종류의 연산이 쿼리로
spicyrisotto.tistory.com
728x90
'책 > Do it!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자바 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y-3 슬라이딩 윈도우 (1) | 2024.03.17 |
---|---|
Day-3 투 포인터 (2) | 2024.03.17 |
Day-2 구간 합 (0) | 2024.03.13 |
Day-1 디버깅 (0) | 2024.03.11 |
Day-1 시간 복잡도 (0) | 2024.03.11 |